티스토리 뷰
목차
요통은 감기와 함께 환자들이 병원을 찾는 가장 큰 이유다. 요통이 극심한 경우 통증을 견디기란 쉽지 않다.
먼저 통증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통증이 좋은 것일까, 나쁜 것일까? 다들 통증을 싫어하지만 없으면 더 빨리 죽는다. 실제로 그런 환자들이 있다. 바로 당뇨병 환자들이다. 감각이 없어서 통증을 못 느끼다 보니, 발 관리를 잘못해서 당뇨 족부 궤양이 생기기도 하고, 운이 없으면 절단하는 경우도 있다.
통증은 경고다. '뜨거우니 뛰어나가라!', '그만 꺾어라, 부러진다!', '피부가 시멘트 바닥에 갈리고 있다!' 등등 위험한 상황을 알려주어 적절히 대응하도록 고안된 장치다. 생존을 위한 필수품이다.
그래서 통증은 좋은 것일까, 나쁜 것일까? 필요한 건 알겠는데 사실 좋은 건 아니다. 나쁜 게 맞다. 지독한 통증을 겪어본 사람에게 물어보면 숨도 쉬지 않고 대답한다. 통증은 나쁜 거라고.
콜레스테롤과 같다. 우리 몸은 필요에 의해 콜레스테롤 생산을 늘리고, 그렇게 해서 늘어난 콜레스테롤은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고마운 존재지만 콜레스테롤이 높은 건 바람직한 상황이 아니다. 손상된 세포가 많거나 스트레스가 높다는 방증이기 때문에 좋은 일은 아니다. 통증 역시 몸을 살리기 위해 고안된 장치이지만, 원인 모를 근육통이나 신경통, 관절염으로 고생한다면 뭔가 잘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통증을 치료할 때 가장 큰 오해가 우리 몸을 건물 구조물로 보는 것이다. 보통 늙어서 아프다고 생각하거나 다쳐서 아프다고 생각한다.
오십견으로 어깨가 아프거나, 무릎 혹은 허리가 아프다는 분들을 보면 운동선수도 아니고, 농사짓는 것도 아니고, 이삿짐 옮긴 것도 아니다. 학창 시절에는 발목을 접질려도 일주일이면 나았고, 극기 훈련 가서 다리에 알배어도 며칠이면 말끔히 나았는데, 나이 들어 생긴 통증들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왜 그럴까?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은 제거하지 않은 채, 파스 바르고 침 맞고 마사지에 물리 치료 해봤자 소용없기 때문이다. 단지 그때뿐이다. 발톱에 무좀 있다고 약을 계속 발라봤자 무좀이 낫던가? 설탕, 당분 섭취부터 차단하고 발톱부터 뽑아낸 뒤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요통이나 관절염도 마찬가지다. 내부의 문제를 겉에서만 해결하려고 접근하다 보니 실패할 수밖에 없다. 군대 가서 배 아프다 했더니 배에 빨간약 발라주더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웃을 일이 아니다. 지금 대부분의 통증 치료가 이와 별다르지 않다. 밖에서 치료하지 말고 안에서부터 치료해야 한다. 할리우드 여배우들은 피부 트러블이 생기면 피부과에 가서 레이저 맞고, 연고 바르는 게 아니라 디톡스부터 시작한다.
디스크 환자들이 내원하면 레이저로 치료하고, 디스크 감압 치료를 하고, 물리치료를 한다. 목적은 하나다. 모두 다 염증을 빠르게 낮추기 위한 일환이다. 그런데 치료를 마친 환자가 집에 돌아가서 염증을 일으키는 설탕과 탄수화물을 과다하게 먹는다면, 이는 불난 현장 한쪽에선 소화기로 화재를 진압하려 하고 다른 한쪽에선 기름을 붓는 격이다. 불이 꺼질 리 없다. 소염진통제 역시 마찬가지다. 아프다면서 소염제를 먹고 음식은 염증을 유발하는 것들로만 골라 먹으면 "약을 먹어도 소용없다" 혹은 "약도 별 효과가 없다"는 말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통증의 원인은 예외 없이 염증이다. 어딘가 아프다면 이는 반드시 염증이 있다는 뜻이다. 피부가 찢어져 상처가 나면 백혈구가 상처 부위로 가서 염증 물질을 잔뜩 쏟아놓는다. 그래서 통증을 느낀다. 그렇지만 아파도 할 수 없다. 외부에 노출된 상처 부위를 박테리아 감염으로부터 지켜내기 위한 면역 시스템의 놀라운 조치다. 그런 염증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렇다면 특별한 상처나 부상 없이 아픈 것도 염증일까? 역시 염증이다. 허리, 목, 어깨, 무릎, 손가락 관절염이 생기는 이유는 사소한 잘못이 쌓인 결과다. 몸을 충분히 안 움직인 것과 염증을 유발하는 음식을 먹은 것이 잘못이다. 주부들이 간혹 억울해한다. 집안일이 얼마나 힘들고 많은데 운동 부족이라니! 그러나 노동을 운동으로 착각해선 안 된다.
다치고 상처가 나야 염증이 생기는 것이 아니다. 통증을 이해하려면 염증 반응(inflammation)을 이해하면 된다. 그걸 이해하고 만들어낸 것이 바로 소염진통제다.
감기에 걸렸을 때 열이 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염증은 불편을 초래하지만 우리를 위해 몸이 일으키는 반응이다. 상처 났을 때나 감염되었을 때 몸을 보호하고 치유하는 장치가 염증이다. 붓는 이유는 문제 있는 부분에 혈관을 확장시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그런데 조금만 아프면 왜 염증 반응이 생겼는지에 대한 고민 없이 약국에 가서 소염제를 사 먹거나 병원에 가서 진통제를 처방받는 것이 일상이 돼버렸다. 불편한 증상을 빨리 없애는 것이 최고의 치료라고 생각하는 환자와 의료인이 만났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항상 어떤 목적 아래 일어나는 것인데도,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보면 당장의 불편함을 없애주는 처치라도 해주어야 하는 것이 현재 의료인의 입장이다. 그러다 보니 증상에 대응하는 치료들, 즉 대증요법을 필요로 하게 되고, 지금은 대증요법이 의료의 대세가 되었다. 그래서 증상이 사라지면 치료도 끝이 난다. 대증요법은 고맙지만 대증요법에서 끝나면 절대로 안 된다. 증상의 원인이 제거되지 않았으므로 증상을 억누르는 치료 효과가 끝나는 동시에 더 큰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결국 처음에는 한두 알의 약으로도 잘 듣던 증상이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세 알 네 알, 나중에는 한 주먹의 약을 먹어도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 아주 곤란한 상황에 맞닥뜨리게 된다.
손가락 아픈 것이 아무래도 관절염 같다고 하면 과연 손가락만 문제일까? 일반적으로 손가락은 빙산의 일각이다. 고혈압약을 장기 복용한 환자들에게 관절염이 흔하다. 특히 손가락과 팔목 관절염이 심하다. 간 때문이다. 혈압약을 장기 복용하면 약물을 해독하느라 간에 무리가 간다. 간을 해독하는 데 필요한 성분이 황(sulfur)이다. 체내에 황이 충분하지 않을 때 간을 보호하기 위해 관절에 있는 황을 우선 가져다 쓴다. 우리 몸은 중요한 것을 지키기 위해 덜 중요한 신체 부위를 희생시킨다. 생존을 위해 중요한 부위는 대부분 장기다. 간, 신장, 췌장 등. 그러면 덜 중요한 부위는 어디일까? 뼈, 근육, 머리카락, 피부, 손톱, 관절, 호르몬 등이다. 우리 몸은 장기 손상이 오기 전에 덜 중요한 부위들을 기꺼이 희생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 손가락은 생존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아무래도 간보다는 덜 중요하다. 식이유황(MSM)이 관절염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다.
그러나 혈압약을 끊을 순 없으므로 진통제가 추가로 처방된다. 그렇지만 진통제도 조심해야 한다. 문제를 가장 많이 일으키는 약물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주로 급작스러운 심장마비다. 심장마비 예방을 위해 혈압약을 먹기 시작했는데, 혈압약 때문에 진통제를 처방받아먹다가 결국은 예방하고자 했던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것이다.
퇴행성 관절염
관절염 하면 보통 퇴행성 관절염을 말한다. 가장 많이 받는 진단이다. 병원에서 듣는 설명은 "연골이 닳아 뼈끼리 부딪혀서 무릎이 아프다"라고 한다. 복잡하게 설명할 수 없으니까 간단히 대충 설명한다고 한 것인데 실은 다 틀린 말이다. 왜냐하면 연골에는 혈관과 신경이 없으므로 통증을 느낄 수 없다. 그래서 글루코사민이나 연골 주사도 사실은 큰 의미가 없다. 혈관이 없으므로 재생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닳아 없어진 연골이 재생된다는 것은 다 거짓말이다.
엑스레이 사진만 보고 관절이 다 닳아서 아프다고 설명하는 것 역시 완전히 틀린 설명이다. 연골이 다 닳아 없어지는 경우는 없다. 어깨나 무릎의 관절은 100년을 살아도 다 못 쓰고 죽는다. 다만, 연골이 수분을 잃고 마르면서 쪼그라든다. 얼굴에 주름지는 정도가 다르듯, 사람마다 개인차는 있지만 연골이 줄어드는 것뿐이다.
만에 하나, 연골이 하나도 남김없이 싹 없어져 뼈끼리 닿는다 하더라도 통증을 느낄 수는 없다. 연골 바로 아래 뼈조직에는 신경이 없기 때문이다. 이가 썩었을 때 아픈 것은 안에 신경이 있기 때문이다. 뼈가 부러지면 아픈 이유는, 뼈 때문이 아니라 뼈를 덮고 있는 골막이 찢어져서다. 골막에 신경이 있기 때문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엑스레이가 꼭 필요한 것도 아니다. 병원 가면 눌러보고 만져보고 돌려보고 검사를 통해 인대의 문제인지, 건초염인지, 관절 문제인지, 근육 문제인지 구분이 가능하다. 오히려 지나치게 엑스레이에 의존해서 촉진을 소홀히 하면 오진 확률이 높아진다. 사건을 수사하듯 모든 증거 자료를 펼쳐놓고 퍼즐을 풀어야 한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 환자들 중에는 무릎 연골이 정상인 경우가 더 많다. 훨씬 많다. 무릎이 아픈 이유는 염증 반응 때문이다. 엑스레이에 안 나타나기 때문에 모를 뿐이다. 소염진통제를 먹으면 통증이 감소하는 이유가 바로 통증의 원인이 염증이라는 뜻이다. 연골에 어떤 조치를 취한 게 아니라 염증을 낮추는 치료를 했을 뿐인데 통증이 완화된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긴다. 안 아프면 나았다고 생각한다. 염증 반응만 제거한 것일 뿐, 원인이 된 근육, 인대, 관절 조직이 회복된 게 아니므로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재발이 반복될수록 강도는 점점 심해져서 호전이 불가능한 시기에 이르기도 한다.
무릎 인공관절 교체 수술을 한 사람 중에도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아픈 경우가 많다. 염증 반응이 심했던 부분은 수술로 제거되었지만 남아 있던 염증 반응이 수술 후 다시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식습관이나 생활 습관이 수술 전후로 달라진 것이 없다면, 즉 계속해서 염증을 일으키는 음식을 먹고 생활한다면 통증은 더 빨리 돌아온다.
오십견
우리에게 익숙한 오십견은 사실상 진단명이 아니다. 그냥 50대에 흔하고, 어깨를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이 보이는 경우를 통칭해서 부르는 말이다. 못 움직이니까 미국에서는 동결견(frozen shoulder)이라고 부른다.
어깨를 감싸고 있는 관절 주머니, 즉 관절낭의 용적이 줄어들어 생기는 것은 관절낭염이라고 부른다. 건초염을 오십견으로 잘못 진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두박근이 들어가는 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 건초염이다. 오십견보다 건초염이 훨씬 더 흔하다.
원래 관절낭염은 통증 하고는 관계가 없다. 아프다면 건초염일 가능성이 더 크다. 이런 경우 MRI나 엑스레이는 필요하지 않다. 이학 검사와 압통점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데 어깨 운동 부족이 원인이다. 운동량과 가동 범위와 관련이 있다. 주부들이 집안일을 하면 어깨를 많이 쓴다고 생각하는데 잘 살펴보면 별로 그렇지 않다. 일은 많이 하지만 거의 모든 활동이 어깨 동작에 제한되어 있다. 설거지도 그렇고, 청소기, 걸레질,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 등등 모두 어깨를 내리고 하는 일들이다. 일상에서 머리 위로 어깨를 올릴 일이 거의 없다. 가끔씩 높은 찬장에서 무너가 꺼낼 때 빼고는 말이다. 심지어 머리 감는 동작조차 어깨를 높이 들어 올리진 않는다. 어깨를 머리 위로 자주 올려주고, 어깨 관절을 자주 돌려주면 관절낭염은 절대 생기지 않는다. 기지개를 자주 켜주는 것도 좋다.
그러므로 치료 역시 어깨를 계속 움직이는 것 외에는 없다. 아파서 조금밖에 못 움직인다면, 아프지 않은 범위에서 계속 움직여주며 점차 가동 범위를 늘려가야 한다. 염증 반응을 낮추는 당질 제한식과 생활습관은 기본이다.
출처: 환자혁명 - 조한경 박사
'= 건강 상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류성 식도염: 증상만 완화하는 대증요법의 대표적 실패 사례 (0) | 2025.05.07 |
---|---|
허리 디스크, 이렇게 치료해보자 (0) | 2025.04.30 |
심장마비, 심근경색: 단순한 배관 문제로 보면 안 되는 이유 (0) | 2025.04.28 |
높은 콜레스테롤에 대한 대처 (2) | 2025.04.26 |
콜레스테롤: 질병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생존의 필수품 (1)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