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양팔의 부종

    몸속 수분의 과잉 현상

     

    양팔의 부종은 울혈성 심부전, 신증후군으로 온몸이 붓는 증상의 일부로 나타난다.

     

    2. 한쪽 팔의 부종

    혈전이 있다는 신호

     

    한쪽 팔만 붓는 까닭은 부은 쪽에 정맥혈정이 있거나, 액와림프절의 부종으로 정맥혈에 장애가 생겼기 때문이다. 또 유방암 수술시 주위 조직인 액와림프절을 절제했을 때 림프액의 순환에 장애가 와도 한쪽 팔이 붓는다.

     

    3. 관절

    통증, 부종, 발적으로 다양한 관절염을 알 수 있다

     

    1) 류머티즘성 관절염

     

    20대에서 40대의 여성에게 발생한다. 한쪽 팔 관절, 손가락 관절에 잘 생기며, 팔꿈치 관절, 무릎 관절, 다리 관절 등 큰 관절로 진행해가는 경우가 많다. 통증, 부종, 발적(피부나 점막이 염증이 생겼을 때 빨갛게 부어오르는 현상), 국소 발열이 있고, 좋아졌다 재발했다가를 되풀이하다가 마침내 관절 연골의 파괴, 관절 변형, 뻣뻣하게 굳어져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2) 변형성 관절염

     

    중년 이후에, 특히 고령자에게 많이 나타난다. 넓적다리, 무릎, 어깨, 척추 외에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의 관절에 생긴다. 뼈의 형성 과잉을 동반해 운동 장애도 함께 온다. 같은 관절에 생기는 통증이라도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같은 발적, 부종, 국소 발열 등은 거의 없다.

     

    3) 헤베르덴 결절

     

    손가락의 말단부에 작은 결절 모양의 뼈 돌기가 있다.

     

    4) 통풍(통풍성 관절염)

     

    통풍의 대부분은 엄지발가락 관절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다른 발가락 관절이나 무릎, 손가락, 손 관절에서 일어나기도 한다. 발적, 부종, 국소 발열이 심하고, 산들바람을 쐬는 것만으로도 심하게 아파서 '통풍'이라고 부른다. 통증 발작은 야간에 많이 일어난다.

     

    4. 다리

    출혈, 색깔로 고콜레스테롤, 영양부족, 혈전을 알 수 있다

     

    다리는 발진이나 전시의 피하나 점막 출혈로 인해 보라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는 자반병(purpura)이 제일 먼저 생기는 부위다. 혈관(동맥, 정맥) 질환도 팔보다 다리에 더 잘 생긴다. 이는 혈액이 중력을 거슬러 흐르기 때문이다.

     

    1) 하지정맥류

    혈액 오염의 신호

     

    다리(하지)의 피부 표면 가까이에 있는 정맥인 표재정맥이 늘어나서 구불구불 기어가는 것처럼 돌출되어 군데군데 정맥류를 만든다. 이 정맥류에 혈류 장애에 따른 염증인 혈전성 정맥염이 생기면 발적, 부종, 통증이 나타난다. 이런 증상이 되출이되면 환부가 있는 피부에 갈색의 색소침착이나 궤양이 나타난다. 여성에게 잘 생기는 병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하지정맥류도 한방에서 말하는 어혈의 한 증상이다.

     

    2) 부종

    영양 부족이나 혈전의 신호

     

    양다리가 붓는 양측성 부종은 울혈성 심부전, 신증후군, 간경변증이나 암처럼 체력이나 면역 상태가 극도로 저하되는 만성 소모성 질환에 의한 영양(알부민, 즉 단백질) 부족으로 생긴다. 한 쪽 다리가 붓는 일측성 부종은 대퇴정맥의 혈전이나 서혜부 림프절의 부종에 따른 정맥 압박(전립선암이 전이되었을 때 등)을 원인으로 본다.

     

    3) 아킬레스건 비대

    고콜레스테롤의 신호

     

    콜레스테롤이 정상일 때 아킬레스건의 굵기는 0.9㎝ 이내지만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300㎎/㎗ 전후가 되면, 그 굵기가 2㎝ 이상이 된다. 이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 콜레스테롤이 아킬레스건의 콜라겐 섬유와 결합해 굵어지기 때문이다.

     

    4) 장딴지에 일어나는 쥐

    하반신 냉증, 근력 저하

     

    밤중에 다리에 쥐가 나는 것은 노화의 신호로 '신허'의 증상이다. 걸어가다가 비틀거리거나 넘어지는 것도 마찬가지로 하반신 냉증이나 근력 저하를 나타낸다.

     

     

     

     

    출처: 전조증상만 알아도 병을 고칠 수 있다 - 이시하라 유미(의학박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