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의학에서는 가슴 두근거림, 빈맥, 부정맥 등을 심장 질환에 속한 증상이라고 보지만, 한의학에서는 '수독'으로 본다. 몸속에 여분의 수분이 쌓이면, 몸을 냉하게 해 신진대사가 나빠진다. 따라서 신진대사를 높이기 위해 가슴 두근거림이나 빈맥, 부정맥을 일으켜 '수분'을 배설하려는 반응이 나타난다.가슴 두근거림이나 빈맥, 부정맥은 어떤 활동을 하고 있을 때는 나타나지 않고, 대개 안정을 취할 때 나타난다. 무언가를 할 때는 근육이 움직이므로 수분을 소비하거나 근육에서 발생하는 열로 수분이 처리되기 때문이다. 가슴 두근거림이나 빈맥을 호소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차, 커피 등 수분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는 사람이다. 한편 몸을 움직였을 때 가슴 두근거림, 빈맥이 나타나는 경우는 심장이 좋아 그럴 수 있으므로 병..

서양의학에서 현기증은 '자신의 몸과 주변 물체의 공간적 관계를 비정상적으로 느끼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뇌종양이나 뇌경색, 소뇌의 위축, 청신경(聽神經)의 염증이나 종양과 같은 명백한 기질적인 병변이 없을 때 생기는 현기증과 이명은 한의학에서 말하는 '수독(水毒)'이 그 원인이다.현기증과 이명이 심해지면 심한 구토를 동반한다. 즉 위액이라는 수분을 몸 밖으로 배출해 몸에 있는 수분의 양을 줄이려는 반응이다. 이것이 서양의학에서 '메니에르 증후군'이라고 부르는 병이다. 메니에르 증후군에 걸리면 의사는 '피로나 수면 부족 혹은 스트레스가 원인이겠죠.'라고 종종 말한다. 이처럼 수면 부족 혹은 스트레스는 배설, 특히 수분 배설을 악화해 몸 안에 수독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그 밖에 평상시 차나 물, 커..

흔히 '심부전'이라고 하면 곧바로 '죽음'을 떠오리지만 죽음에 이르는 심부전에서 문자 그대로 '심장이 불완전하게 기능하는' 가벼운 심부전까지 증상이 다양하다. 심장판막증이나 심근증, 협심증, 고혈압성 심장병 등으로 심장의 기능(힘)이 저하되면 심장은 온몸의 세포로 혈액을 내보내는 힘이 약해진다. 그렇게 되면 온몸의 기관, 조직, 세포에서 혈액이 막히고 혈관벽에서 수분이 누출돼 심부전 특유의 증상인 '부종'이 생긴다. 그러니 심부전에 걸리면 이뇨제를 처방해 치료한다.심부전은 그 외에도 폐에 물이 차는 폐수종 증상도 더해져 숨참, 가슴 두근거림, 호흡 곤란과 같은 증상도 나타난다. 또 위장이나 간이 부으면 식욕 부진이나 구역질, 울혈간(鬱血肝)에 의한 간 기능 저하 현상도 일어난다. 심주전에 걸리면 하루 5..

뇌졸중에는 뇌출혈, 뇌경색, 거미막하출혈, 일과성 뇌허혈 발작 등이 있다.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까지 뇌졸중 하면 대부분이 뇌출혈이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거의가 뇌경색이다. 영양 상태가 너무 좋아져 혈액 속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이외에 단백질, 적혈구, 혈소판 등 잉여물이 늘어나 그 잉여물이 혈전(핏덩어리)을 생성해 뇌동맥을 막아버리기 때문이다.뇌졸중을 다른 말로 뇌일혈이라고도 한다. 사람은 젊었을 때는 다리, 허리 근육이 튼튼하고 하반신에 혈액이 많이 모여 머리는 차고 발은 따뜻한 두한족열(頭寒足熱)이라는 아주 좋은 건강상태를 보인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허리와 다리, 엉덩이 근육이 적어진다. 그러면 당연히 하반신의 혈액이 갈 곳을 잃어 상반신으로 올라와 고혈압이 생긴다.여기서 ..

치조농루는 입안에 세균 독소와 그 대사산물, 치석, 음식물 찌꺼기 등으로 잇몸이 자극을 받아 염증을 일으켜 생기는 질병이다. 따라서 음식물을 꼭꼭 씹어서 침을 많이 분비하고 칫솔로 잇몸의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것이 치조농루를 예방, 치료하는 데 중요하다. 침은 이처럼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을 없애는 기능을 하므로, 평상시에 음식물을 꼭꼭 씹어 먹어서 입 주위나 혀를 충분히 움직이면 음식물의 찌꺼기나 산성 물질은 침과 함께 제거되어 치조농루나 충치에 쉽게 걸리지 않는다. 자가 치료법 잇몸의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것이 최선의 치료법이다. 칫솔을 가볍게 쥐고 한 번에 최소 5분, 하루 서너 번 마사지한다. 처음에는 피나 고름이 나와 놀라겠지만 겁내지 말고 계속해도 된다.칫솔 위에 치약을 묻히고 그 위에 천연소금..

간은 혈액이나 체내에 발생한 유해물을 해독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과식이나 육류를 과잉섭취하면 장내에 아민, 암모니아, 스카톨, 인돌과 같은 맹독물질이 발생한다. 그때 간은 그 독을 해독하느라 손상을 입는다. 그렇게 되면 바이러스나 알코올, 약품에 의해 간염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마찬가지로 변비도 장내에 유해물질을 발생시켜 간이 손상되는 요인이 된다. 즉 간염 바이러스는 간염을 일으키는 방아쇠에 지나지 않는다. 간염의 진짜 원인은 육류, 달걀, 우유로 대표되는 동물성 식품과 백미, 흰 빵, 백설탕으로 대표되는 정백식품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여 만들어진 장내 부패산물이다. 자가 치료법 과식하지 않는다.특히 육류는 극히 절제한다.해독작용에 좋은 비타민B2를 함유한 대두, 낫토, 쌀 배아(현미), 녹차,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