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거친 피부: 건조함과 축축함으로 당뇨병, 갑상선 이상을 알 수 있다

1. 건조한 피부가 나타내는 것당뇨병일 가능성이 있다 피부 건조는 당뇨병, 점액수종, 만성 심부전, 강피증(교원병의 일종으로 피부가 딱딱하게 느껴지는 증상) 등의 질환 외에도 탈수 상태이거나 고령자일 때 나타난다. 또 빈혈 경향을 보이는 '어혈'이 있는 여성들에게도 나타난다. 겨울이 되면 피부가 가려워지는 경우는 노인성 피부 건조이다. 2. 축축한 피부가 나타내는 것갑상선 이상 신호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여러 가지 발열 질환, 더위나 열에 의한 발한으로 피부가 축축해지기도 한다. 말초순환 장애를 겪는 냉한 체질의 사람이 '식은땀'을 흘려 피부가 축축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매우 드문 경우이다. 땀이 많거나 식은땀을 흘리는 것은 '수독'을 나타낸다. 3. 탈수 상태가 나타내는 것신장의 이상 신호 혼수상태나 신..

= 건강 상식 = 2024. 8. 19. 10:13
압박감: 다양한 압박증상으로 흉협고만을 알 수 있다

우상복부나 우상복부에서 오른쪽 등에 걸쳐 위화감이나 불쾌감, 압박감을 느끼는 증상을 한의학에서는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괴로운 증상인 '흉협고만(胸脇苦滿)'이라고 표현한다. 이런 느낌이 없어도 '벨트나 혁대를 졸라매고 싶지 않거나 졸라매면 괴롭다'라는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 흉협고만은 간장이나 담낭의 질환, 폐나 위장, 간장, 췌장과 같은 만성 질환, 지방간이나 비만과 같은 영양과다나 단순히 피곤해도 일어난다.서양의학에서는 이들 각각의 질병에 대해 전혀 다른 처방을 내리지만, 한의학에서는 미시마시호라는 미나리과의 식물뿌리로 만든 '시호제(柴胡劑: 간장의 기능을 회복, 촉진하기 위해 쓰이는 약제로 가슴이 결리고 미열이 있을 때 사용한다)'를 쓴다. 이 시호제는 위에서 거론한 서양의학에서 붙인 병명..

= 건강 상식 = 2024. 8. 16. 12:43
배의 온도: 차가운 위치를 통해 하반신 혈액순환 장애, 간장병을 알 수 있다

손바닥을 배에 댔을 때 배 전체가 따뜻한 사람은 몸 전체도 따뜻하며, 건강한 사람이다. 반대로 배 전체가 차가운 사람은 몸 전체가 차가운 사람이다. 아무리 '손발이 뜨겁다'든가 '식사를 하거나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난다'처럼 일견 열이 많은 체질처럼 보이는 증상을 지닌 사람이라도 배가 차면 '냉한 체질'이나 '체온 저하가 있다'라고 판단해도 된다.정상체온(36.5도)보다 체온이 1도 내려가면 면역력이 30% 이상 떨어지고, 신진대사도 약 12%가 저하된다. 따라서 배가 차가운 사람은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이므로 어떤 병에 걸린다 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태이다. 또 신진대사가 저하돼 있으므로 쉽게 살이 찐다. 1. 배꼽 아래가 차가운 사람 손바닥을 배꼽보다 위에 대면 따뜻하지만, 배꼽보다 아래쪽에 대면 ..

= 건강 상식 = 2024. 8. 16. 11:36
대변: 출혈 여부로 정맥류를 알 수 있다

하혈이란 소화관(위장)에서 피가 나 그 출혈이 항문으로 배설되는 상태이다. 위나 십이지장, 소장 상부와 같은 몸의 소화관에서 출혈이 일어나면 검은 타르 같은 질척한 변이 나온다. 항문에 가까운 대장이나 직장에서 나온 출혈은 선홍색을 띤다. 이때의 변은 조금 비릿한 냄새가 나고 묽다.위암이나 위궤양 등 상부 소화관에서 조금씩 나오는 출혈은 육안으로는 혈변임을 알 수 없고 검사지 또는 그 밖의 화학적인 검사를 해야 비로소 증명되므로 '잠혈'이라고 부른다.치질이 있어도 대변에 자주 피가 섞여 나온다. 치질은 치정맥의 혈액순환 장애로 정맥류가 형성된 것이다. 한방으로 말하자면 어혈의 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또 하혈은 아니지만, 입에서 나오는 '토혈'은 구토물에 대량의 혈액이 섞여 있는 상태로 위/십이지장 ..

= 건강 상식 = 2024. 8. 14. 08:05
복부 통증: 통증의 위치로 30가지 이상의 질병을 알 수 있다

복통은 소화기(위장, 간장, 췌장, 담낭)의 염증, 천공, 괴사, 허혈(혈액순환 장애)로 일어나는 경우가 가장 많다.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허혈성 심장병이나 요로결석, 자궁이나 난소의 기능 부전(생리통), 자궁외임신 등으로도 복부 통증이 올 수도 있다. 1. 복통의 위치에 따른 구분 심와부(명치): 위염, 위궤양, 십이장궤양, 식도염, 췌장염, 심근경색 등우상복부: 담낭염, 담석증, 간염(드물게 우측 요로결석, 우측 신우신염)좌상복부: 위궤양, 위속 가스로 인한 선통(배가 쑤시는 것처럼 심하게 아픈 것이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며 일어나는 증상), 췌장 질환(취장염이나 췌장암 등), 드물게 좌측 요로결석, 췌장병일 때의 통증은 종종 왼쪽 등, 왼쪽 어깨로 퍼진다.우하복부: 충수염, 우측 요로결석, 우측 ..

= 건강 상식 = 2024. 8. 13. 08:45
기침, 가래: 다양한 기관지, 폐 관련 질환을 알 수 있다

기침은 폐, 기관지 속의 노폐물이나 유해물을 배설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생체방어 반응 중 하나이다. 1. 급성 기관지염 급성 기관지염일 때 가래는 끈적끈적한 점액성이고 무색투명하다. 단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기관지 분비물이 증가해 가래는 물과 같은 맑은 액체가 된다. 발열을 동반하기도 한다. 2. 만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이 발생하면 기침과 악취가 나지 않는 끈적끈적한 가래가 나오고, 종종 호흡곤란 증세를 보인다. 발열을 동반하기도 한다. 3. 기관지 확장증 기관지 확장증은 악취가 나는 고름 같은 가래가 나온다. 또 손가락 끝이 곤봉처럼 뭉특해지는 '곤봉지'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손톱 표면과 손톱 바탕 부분이 이루는 각이 평평할 정도로 180도 이상이 되면 곤봉지라 정의한다. 세균 감염이 있으면 열이..

= 건강 상식 = 2024. 8. 12. 09:09
가슴 통증: 통증의 형태에 따라 협심증, 심근경색을 알 수 있다

1. 협심증, 심근경색 협심증은 심장 근육에 영양이나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동맥경화나 추위, 스트레스 등으로 좁아져 일시적으로 혈액순환이 나빠진 탓에 가슴 중앙의 흉골 언저리가 아픈 증상이다. 통증은 흉골을 위, 가운데, 아래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위 3분의 1과 가운데 3분 1 지점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가슴을 쥐어짤 듯이 아프거나 무엇이 짓누르는 것처럼 아프기도 하며 때로는 살을 에는 듯 통증이 엄습해 숨이 막히는 질식감을 동반하기도 한다. 그러나 안정을 취하면 몇 분 내오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심근경색은 관상동맥에 혈전(핏덩어리)이 생겨서 그 부근에 있는 심근이 괴사를 일으키는 상태이다. 이른바 급성 심부전증에 빠져 최초의 발작이 시작되면 약 3분의 1이 목숨을 잃는다. 이 발작은 안정..

= 건강 상식 = 2024. 8. 9. 15:16
림프절과 갑상선의 증상: 통증과 단단함 여부

1. 림프절통증으로 염증성인지 종양성인지를 알 수 있다 목 림프절이 부어서 커지는 것은 염증성이나 종양성 중 어느 한 가지 병변으로 일어난다. 염증성 질환으로는 급성 단순성 림프절염(세균감염에 의함), 풍진, 수두, 홍역, 결핵, 매독, 사르코이도시스(sarcoidosis: 원인불명인 전신성 육아 육종 질환) 등이 있다. 또 종양성 질환으로는 암의 림프절 전이, 백혈병, 악성 림프종, 림프육종 등을 들 수 있다.부어 있는 림프절을 세게 눌러서 통증이 있으면 염증성이고, 반대로 통증이 없으면 종양성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통증이 있을 때 오히려 안심할 수 있다. 단 염증성 림프절로 부었다고 해도 결핵성 림프절염이나 매독, 사르코이도시스오와 같은 만성으로 발전한 경우에는 눌러도 통증이 없다. 목에 생긴..

= 건강 상식 = 2024. 8. 8. 08:43
잇몸: 색소침착과 붓기로 혈액순환 장애, 치조농루를 알 수 있다

1. 잇몸이 색소 침착으로 보라색이다혈액이 오염되어 있다는 신호 잇몸의 색은 원래 분홍색인데 잇몸 전체가 보라색을 띠거나 잇몸 이곳저곳에 보라색이나 갈색의 색소가 침착된 경우는 어혈이 있다는 신호이다. 또 치아가 흔들리거나 시린 것도 피로 등으로 혈액순환에 장애가 왔다는 신호이다.  2. 잇몸 출혈, 붓기, 퇴축치조농루의 시작 치조농루에 걸리면 잇몸이 붓고 피가 나오며 고름을 동반한다. 또 잇몸이 적어져서 치아와 치아 사이에 틈이 생겨 이도 길어 보인다. 많은 경우 입 냄새를 동반한다.(*퇴축: 이 둘레가 퇴행/위축하여 치아 뿌리를 둘러싸고 있는 표면인 흰색의 얇은 층이 드러나는 것)  3. 목젖(구개수)의 기울어짐뇌에 이상이 생겼다는 신호 뇌출혈, 뇌경색, 뇌종양과 같은 뇌 질환에 의해 제10 뇌신경인..

= 건강 상식 = 2024. 8. 7. 11:12
설태: 색깔과 부풀어 오름으로 체력 저하, 혈액 오염을 알 수 있다

설태란 혀 표면에 붙어 있는 이끼 같은 것이다. 설태는 오래돼 벗겨진 혀의 상피, 음식물 찌꺼기, 세균 등으로 이루어진다. 서양의학에서는 구강호흡, 급성 질환, 타액 감소에 따른 입안 건조, 비강 영양이나 링거 주사로 입 운동이 없을 경우, 칫솔질을 장기간 소홀히 한 경우, 위장병, 열성 질환, 변비, 흡연 과다, 밤새기 등의 이유로 나타난다고 본다.또 단식 중에도 입 냄새, 진한 색의 소변 배설, 더러운 가래나 숙변의 배설과 함께 설태가 두꺼워진다. 설태 색깔이 흰색→누런색→옅은 갈색→갈색→진갈색→흑색의 순으로 진해질수록 몸속에 더 많은 노폐물이 쌓여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설태의 양과 색깔 정도는 혈액 오염 정도와 비례한다고 봐도 좋다.  1. 설태가 누렇거나 거무스름하다혈액이 오염되어 있다는 신호..

= 건강 상식 = 2024. 8. 6. 10:0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neoanima35@gmail.com | 운영자: neo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